경제

리튬건전지 코인건전지 극성표시 제대로 알고 사용하시나요?

데일리봇 2024. 2. 21. 08:59
반응형



세상에 어른이 건전기 극성 표시 구분을 못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사실 저도 없는 줄 알았습니다. 사실 제가 최근 리튬건전지(일명 코인건전지 또는 동전형 건전지)를 구입해서 사용하면서 리모콘 작동에 실패하기전까지는 말입니다.

어처구니 없게도 건전지 극성표시 구분을 못하는 사람이 저였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일반 건전지는 아니고 둥근 모양의 리튬건전지 극성 구분에 대한 혼동에 대한 스토리입니다.

CR2025 건전지 새로 교체했지만 네트워크스위치 조명 리모콘 먹통

 

CR2025 건전지 새로 교체했지만 네트워크스위치 조명 리모콘 먹통

사소하지만 편리한 조명기기 제어로 편리함을 맛졸 수 있다는 기대가 컸습니다. 그런데 오산이었습니다. 리모콘이 멀쩡하게 보였기에 저 둥근 건전지만 교체하면 작동할 것으로 알았습니다. 그

daily.onionwise.com

 

더 정확히 말하면, 최근에 동전모양의 건전지인 리튬건전지가 필요해서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무의식중에 극성표시는 보지않고 전자기기의 리튬건전기 끼우는 공간만을 보고, 당연한 듯이 무의식적으로(옳다고 믿는 바대로) 끼워 사용한 결과가 위와 같았습니다.

 


분명 조명 리모콘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완전 새것인 상태였는데, 코인 건전지를 끼워도 동작을 하지 않았던 것이지요. 그날 저녁은 네트워크 스위치이든 조명 리모콘이든 어느 한 쪽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포기했습니다. 괜히 근처 GS샵에서 구입한 4개들이 CR2025 리튬건전지만 애석하게 느껴졌습니다.

 

 

리튬건전지 극성표시 구분 방법

그런데 바로 그다음날 아침에 우연히 발견하였습니다. 어제까지 생각도 하지 않았던 리튬건전지의 극성표시가 오늘 아침에 보였습니다. 자세히 보니 코인건전지(동전형 건전지)는 넓고 편편하지만 두쪽 가운데 조금도 넓은 면이 있고, 조금 좁은 면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넓은 쪽이 (+) 극성이며, 그 반대편의 좁은 면적 부분이 (-) 극성입니다. 사실 이것은 굳이 구분이랄 것도 없이 극성표시에 관심만 가지고 확인만 하면 되는데 오랫만에 일반건전지(A, AA, AAA 건전지 등)가 아닌 동전처럼 생긴 리튬건전지를 사용하게 되면서 생긴 무관심, 무자각 탓이었습니다. 

 

조명 리모콘에 리튬건지를 잘못 끼운 상태

위의 사진은 리튬건전지를 조명 리모콘에 잘못 끼운 상태입니다. 왜냐면 건전지를 끼우는 함체 우측에 (-) 극성 표시가 되어 있는데 그것을 무시하고 (+)극성이 위쪽으로 보이도록 끼웠으니 반대방향으로 끼운 것입니다.

 

조명 리모콘에 리튬건전지를 제대로 끼운 상태

위의 사진은 리튬건전지를 조명 리모콘에 제대로 끼운 상태입니다. 왜냐면 건전지를 끼우는 함체 우측에 (-) 극성 표시가 되어 있는 것에 맞추어 리튬건전지(코인건전지)의 마이너스 극성이 위쪽으로 오도록 제대로 끼웠습니다. 

 

이렇게 제대로 끼우고 동작을 해보니, 조명 리모콘이 정상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리튬건전지를 사용할 때는 극성표시를 무시하지 말고 바로 확인 습관을 다시한번 상기하기 바랍니다.

반응형

리튬건전지 종류

여기서 잠깐! 리튬건전지 코인건전지는 대략 몇종류가 있을까요? 이번에 제가 사용한 건전지는 CR2025였지만 cr2025외에도 cr2032 리튬건전지, cr2450(CR2045), CR1616(cr1616), CR2032(cr2032)가 있습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리모콘, 보이스 리코더,  MP3플레이어 등 대부분의 구식 전자기기들은 CR2032 건전지를 많이 적용한 것 같습니다. 그만큼 집 책상서랍속에도 많이 있는 것이 cr2032입니다. 

 

 

반응형